* 일러두기 - 대괄호는[ ]는 옮긴이가 부연 설명을 위해 임의로 추가한 부분이다. - 가독성을 위해 임의로 홑따옴표(‘ ’)나 줄표(―)를 적용하였다. -『에티카』 직접인용의 국역은 황태연본(피앤비, 2011)에서 가져온 후 [국역본]으로 서지사항을 표기했으며, [국역본] 표시가 없는 부분은 본문의 맥락에 맞춰 옮긴이가 직접 번역한 부분이다. - 원문의 이탤릭체는 고딕체로 강조했다. 단, 외국어(라틴어나 불어)여서 이탤릭체로 표기한 것은 따로 강조하지 않았다. 어펙트(affect) 얀 슬라비(Jan Slaby), 라이너 뮐호프(Rainer Mühlhoff) 번역: 은혜 우리 시대의 어펙트: 아이디어와 방향성 이 장의 후반부에서 우리는 현대 어펙트 연구에서 어펙트 이해에 중심이 되는 아이디어들, 특히 ‘..
* 일러두기 - 대괄호는[ ]는 옮긴이가 부연 설명을 위해 임의로 추가한 부분이다. - 가독성을 위해 임의로 홑따옴표(‘ ’)나 줄표(―)를 적용하였다. - 『에티카』직접인용의 국역은 황태연본(피앤비, 2011)에서 가져온 후 [국역본]으로 서지사항을 표기했으며, [국역본] 표시가 없는 부분은 본문의 맥락에 맞춰 옮긴이가 직접 번역한 부분이다. - 원문의 이탤릭체는 고딕체로 강조했다. 단, 외국어(라틴어나 불어)여서 이탤릭체로 표기한 것은 따로 강조하지 않았다. 어펙트(affect) 얀 슬라비(Jan Slaby), 라이너 뮐호프(Rainer Mühlhoff) 번역: 은혜 이 책 『정동적 사회의 주요 개념』의 본문 첫 장에서는 우리가 분석적 관점으로 유익하다고 간주하는 어펙트 이해를 개괄하고자 하는데, 그..
젠더·어펙트연구소는 “연결신체 이론”의 정립과 젠더·어펙트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방법을 모색하고자 국외 논저를 번역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페미니즘 이론 및 젠더정치와 관련된 연구, ‘어펙트’에 관한 학술서, 장애학, 포스트휴먼, 신유물론 등을 주제로 한 명저를 선별해 서문 또는 주요 내용을 번역하여 웹진을 통해 소개합니다. 번역은 연구소의 연구원들과 전문 번역가가 번역하고 검토, 감수합니다. 첫 번째로 소개할 책은 Jan Slaby와 Christian von Scheve의 『Affective Societies: Key Concepts』(Routledge, 2019)입니다. 이 책은 우리가 살아가는 사회를 ‘Affective Societies’ 즉 ‘정동적 사회’로 이론화하고자 할 때 필수적으로 동..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