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사장의 실종 소식은 사흘 후였다. 강대표와 사이가 소원해졌으니 오지 않는 것뿐이라 짐작했는데, 성애는 점심시간이 훨씬 지나 식당 주차장에 미끄러져 들어오는 경찰차에서 눈을 떼지 못했다. 이따금 파출소 사람들이 늦은 점심을 먹으러 들르곤 했으니 밥 손님이라고 믿고 싶었지만, 함께 온 둘은 테이블에 앉고 장경사가 강대표를 찾았다. 그는 마을 주민들의 가정사까지 모두 꿰고 있는 토박이였다. 이틀째 조 사장이 보이지 않는다는 신고가 들어왔다고 그는 말했다. 그의 낚시 가게에서 오후에만 나와 아르바이트를 하는 용태가 연락이 닿질 않는다고 했다. 조 사장 동생 번호를 물었지만, 강대표는 퉁명스러운 입매로 고개만 비틀었다. “조 사장 동생 번호? 아마 가도 번호를 새로 바깠을 낀데… 그 병원 사건 땜시 그란다지 ..
‘되기’의 실행: 괴물의 역량과 여성의 글쓰기에 관하여 - 메리 셸리의 『프랑켄슈타인: 현대의 프로메테우스』 I. 메리 셸리(Mary Shelley)는 『프랑켄슈타인: 현대의 프로메테우스』(Frankenstein: or The Modern Prometheus) 서문에서 어떻게 이 책을 쓰게 되었는가에 대해 쓴다. 21세가 되던 1816년 여름, 셸리는 친구들과 제네바로 여행을 떠난다. 여름답지 않게 춥고 비가 많이 오던 그 시절, 그는 저녁마다 모닥불을 지피고 친구들과 독일 유령 이야기를 하며 시간을 보낸다. 셸리와 친구들은 “괴담을 나누다 보니 비슷한 이야기를 지어내고 싶은 장난기가 발동”해 이야기를 한 편씩 쓰기로 한다. 날씨가 개자 친구들은 멋진 풍광에 마음을 빼앗겨 이야기 짓기를 그만두었지만 셸리..
1. 마주침과 연결의 흔적을 좇는 이야기들 누구든지, 어디에나 꼭 맞는 사람은 없다. 우리는 매일같이 오가는 일터나 학교에서, 우리가 친숙하다고 느끼는 공간에서, 자주 만나는 친한 사람들과 가족에게서, 그리고 우리와 한시도 떨어져 있지 않은 우리의 신체로부터 종종 낯설고 어렵고 감당하기 힘든 타자로서의 자기를 발견한다. 이러한 ‘잘 맞지 않는다’는 느낌, 온전히 인정받거나 이해받을 수 없을 것이라는 절망감은 우리에게 누구와도, 무엇과도 연결되어 있지 않다는 근원적인 소외감을 안겨준다. 그리고 바로 그 이유로 우리는 지치지도 않고 누군가와, 무언가와 연결되려 한다. 타자에 대한 이해, 글쓰기를 자신의 소설세계로 정립해온 작가 조해진에게 이러한 ‘연결’의 문제는 이야기의 요체가 될 수밖에 없다. 대표작 『로..
twitter.com/genderaffect/status/1344184671538540544?s=21 genderaffect on Twitter “[6주차 위클리 젠더·어펙트 브리핑 : 흐름을 바꾸는 여성들 - 안향미, 세상의 편견을 향해 던지는 돌직구] 6주차 ‘위클리 젠더·어펙트 브리핑 : 흐름을 바꾸는 여성들’은 성적 고정관념으로 twitter.com www.facebook.com/100725971398746/posts/253356696135672/ Facebook에 로그인 메뉴를 열려면 alt + / 키 조합을 누르세요 www.facebook.com www.instagram.com/p/CJaeMPGF00g/?igshid=1e1rpfme862ad
twitter.com/genderaffect/status/1341616681852960769?s=21 genderaffect on Twitter “5주차 ‘위클리 젠더·어펙트 브리핑’은 매주 진행되는 정례 세미나에서 함께 공부했던 내용을 되짚어 보는 젠더·어펙트 용어와 개념입니다. 지난 11월 24일 화요일 인터내셔널 젠더·어펙트 twitter.com www.facebook.com/100725971398746/posts/248853106586031/ Facebook에 로그인 메뉴를 열려면 alt + / 키 조합을 누르세요 www.facebook.com www.instagram.com/p/CJIOfwsFXvo/?igshid=5hym86kg08zs
www.facebook.com/100725971398746/posts/244510533686955/ Facebook에 로그인 메뉴를 열려면 alt + / 키 조합을 누르세요 www.facebook.com twitter.com/genderaffect/status/1339117620595855361?s=21 genderaffect on Twitter “매주 수요일에 업로드하는 ‘위클리 젠더·어펙트 브리핑’의 4주차 북큐레이션은 에 대해 살펴보는 시간을 갖습니다. 임신 중단의 경험을 twitter.com www.instagram.com/p/CI2eCvwlvEA/?igshid=4qod1u3ud41h
이슈 제목 기사 제목 및 링크 토크 카테고리 참고문헌 코로나가 만든 ‘필수노동자’ 필수노동자 http://www.newscham.net/news/view.php?board=news&nid=105546 가장 헐값에 부리는 일꾼, 필수노동자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2008291114021&code=940100#csidx4988acace72555eab5977b6296a1e43 · ‘필수노동자(essential workers)’ : 미국 주정부들이 보건의료·식료품·공공운수 등 코로나19 상황에서도 필수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산업의 노동자에게 계속 업무를 수행토록 하는 행정명령에서 나온 말. · 영국에서는 같은 의미로 ‘핵심 노동자(k..
twitter.com/genderaffect/status/1336554703417606147?s=21 genderaffect on Twitter “젠더·어펙트연구소에서 기획한 새로운 콘텐츠, ‘위클리 젠더·어펙트 브리핑’을 매주 수요일 업로드할 예정입니다. 이 콘텐츠는 젠더·어펙트연구소에서 논의된 다양하고 의미 있는 주제 twitter.com www.instagram.com/p/CIkQPFBFct0/ 로그인 • Instagram www.instagram.com www.facebook.com/100725971398746/posts/239797740824901/ Facebook에 로그인 메뉴를 열려면 alt + / 키 조합을 누르세요 www.facebook.com
이슈 제목 기사 제목 및 링크 토크 카테고리 참고문헌 전태일 50주기(2020. 11.13.) : 전태일과 오늘의 노동 훈장 수여, 전태일정신의 박제화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2/0003042687?sid=001 전태일 그후 50년 http://m.hani.co.kr/arti/SERIES/1489/ 14시간 미싱 돌리다 한 번씩 하늘 봐요 http://h21.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49413.html 2020 전태일의 일기 http://h21.hani.co.kr/arti/SERIES/2468/ 플랫폼과 로봇에 갇힌 ‘21세기 중국의 전태일들’ http://m.hani.co.kr/arti/opinion/col..
글로리아 스타이넘은 페미니즘이 여성의 삶에서 나오는 지식이라고 확언했다. 당연한 말이지만 때로 현학적인 용어들과 외부에서 얹어오는 표피적인 해석들 속에 둘러싸여 있다 보면 그 자명함을 잊어버리곤 한다. 열네 살에 성매매에 유입되어 7년의 기간 동안 성구매자들에게 착취를 당했던 레이챌 모랜(Rachel Moran)의 회고록 『페이드 포』를 읽기 전까지, 나는 내가 알고 있는 성매매에 대한 지식과 그것을 비판하기 위한 나의 언어 체계가 실은 얼마나 그릇된 고정관념에 얽매여 있는 것인지 알지 못했다. 이것은 강제가 있었느냐 아니냐로 구분지어 이야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며, 성노동자들의 생계와 안위를 위해 성매매의 합법화를 주장한다는 건 그야말로 기만이다. 모랜이 자신의 삶과 경험에서 길어 올린 생각과 지식은..
여성 의제를 다룰 때 주의해야 할 점은 자신의 인생에서 한 번도 진취적인 경험이 없는 여성은 없다는 것을 꼭 기억하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책을 관통하는 주제는 모든 여성은 독립적인 주체라는 점이다. 난민과 여성 사이에 무슨 관련이 있는 건가 싶을 수도 있다. 나도 그랬었다. 하지만 여성 의제는 다른 맥락 없이 흘러가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이 책을 읽으면서 깨달을 수 있었다. 난민에 대해서 아는 것이 없었던 나는 난민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정우성 배우님’ 밖에 없었다. 그나마 정우성 배우님께서 난민혐오 반대 운동을 적극적으로 이끌어 주셔서 이 정도라도 남은 것이라고 생각한다. 나는 난민에 대해서 무지했지만 그나마 아는 것이라고는 마치 주입식 교육처럼 ‘난민에 대한 혐오를 하면 안 된다’는 ..
정체를 부수는 정체 사람들은 무언가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대상과 마주할 때, 그것을 이분법적으로 분리하고 구분하여 이해하려 한다. 그것을 구분하는 것이 본질적으로 대상을 이해하기 쉽기 때문일까, 혹은 구분하고 재단하면 대상을 본질적으로 이해하였다고 여기기 때문일까. 오래된 정의는 ‘본질’을 이해하기 위해 세상을 구분해왔다. 선:악, 빛:어둠, 남성:여성, 정상:비정상과 같은 대립 항으로. 한편, 이렇게도 말할 수 있지 않을까? 인간이 본질을 이해하기 위해 세상을 구분해온 관습은, 나아가 구분하는 것 자체를 인간의 본질로 만들어버렸다. 사회는 각 대립 항의 부분과 요소들로 구성되는 것이 본질이라 여기게 되었고, 각 부분과 요소들에는 본질적 역할이 있으며, 그 역할의 수행이 인간의 본질이라고 여겼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