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토크] 11월 젠더·어펙트 이슈 토크
- 모아보기/이슈토크 모아보기
- 2020. 11. 26.
이슈 제목 |
기사 제목 및 링크 |
토크 |
카테고리 |
참고문헌 |
전태일 50주기(2020. 11.13.) : 전태일과 오늘의 노동
|
훈장 수여, 전태일정신의 박제화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2/0003042687?sid=001
전태일 그후 50년 http://m.hani.co.kr/arti/SERIES/1489/
14시간 미싱 돌리다 한 번씩 하늘 봐요 http://h21.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49413.html
2020 전태일의 일기 http://h21.hani.co.kr/arti/SERIES/2468/
플랫폼과 로봇에 갇힌 ‘21세기 중국의 전태일들’ http://m.hani.co.kr/arti/opinion/column/969379.html?_fr=fb#cb
서울신문 탐사보도 인터랙티브: 당신이 잠든 사이 – 달빛노동리포트 https://www.seoul.co.kr/SpecialEdition/nightwork/
|
· 전태일 50주기를 통해, 전태일의 표상을 둘러싼 문맥 검토. |
▷ 노동 |
·『너는 나다』 (1~10권) : 전태일 50주기 공동 출판 프로젝트 |
젠더폭력과 책임정치: 서울·부산시장 보궐선거(2020.11.2.) |
민주당 ‘서울·부산시장 보궐선거 공천 당헌 개정’ 당원투표 86% 찬성
與 “보궐선거 후보 낸다” 결정한 날 젠더폭력·윤리신고상담센터 운영 시작 |
· 더불어민주당은 서울·부산시장 보궐선거에 후보를 내기로 결정하고, 같은 날 당내 상설기구인 젠더폭력·윤리신고상담센터 운영을 시작하겠다고 밝힘. |
▷ 지역 |
·『약속과 예측 : 연결성과 인문의 미래』, 산지니, 2020. |
메리울스턴크래프트 나체동상 : 페미니즘 제의의 문제 |
'페미니즘의 어머니' 울스턴크래프트 첫 동상, 런던에 우뚝 https://www.yna.co.kr/view/AKR20201110129900009
‘페미니즘 선구자’ 223년 만에 첫 동상...“하필 왜 나체?” http://www.hani.co.kr/arti/society/women/969555.html
Artist Maggi Hambling says critics of Mary Wollstonecraft sculpture ‘missed the point’ https://www.standard.co.uk/news/uk/mary-wollstonecraft-naked-sculture-maggi-hambling-b63158.html
Nude statue honoring feminist icon Mary Wollstonecraft sparks criticism |
· 메리울스턴크래프트의 나체 동상은 여성의 신체를 성적 대상화한 것으로 논란이 됨. |
▷ 섹슈얼리티 |
· 엘리자베스 그로스, 임옥희·채세진 역, 『몸 페미니즘을 향해』, 꿈꾼문고, 2019. |
월경과 출산을 말하기 : 생물학적 몸을 둘러싼 정동 |
사유리 ‘비혼모 선언’…‘가부장 한국’ 흔들다 外 http://www.wome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4231
아이는 꼭 ‘법적 부부’에서 태어나야만 할까? http://www.hani.co.kr/arti/society/women/970396.html
방송인 사유리의 ‘비혼 출산’이 한국 사회에 던진 화두…‘낳을 권리’를 논하자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_id=202011192119005 |
· 비혼모의 임신·출산 지원, 보호 열악 / ‘생활동반자법’을 요구하는 목소리 : 비혼 여성, 혼인-입양-혈연으로 구성되지 않은 가족은 배제와 차별의 대상이 된다. |
▷ 섹슈얼리티 |
· 김지수·최윤희·윤수민 극본, 박수원 연출, <산후조리원>(총8부), tvN, 2020.11.02.~2020.11.24.
· 아리스토파네스, 「뤼시스트라테」, 천병희 역, 『아리스토파네스 희극전집』, 도서출판 숲, 2010.
· 필리프 쥘리앵, 홍준기 역, 『노아의 외투 – 아버지에 관한 라캉의 세 가지 견해』, 한길사, 2000.
· 레이첼 카우더 네일버프, 박수연 역, 『마이 리틀 레드북 - 100명의 솔직한 초경 이야기 ‘여자는 누구나 그날을 기억한다’』, 부키, 2011. |
정치의 발견 또는 위치의 발명 : 농촌의 위치와 여성의 위치 |
여성 청년에게 농촌은 대안적 삶의 공간이 될 수 있을까? |
· 농촌이 생산하는 것은 농산물이 아니라 공간 그 자체 |
▷ 지역 |
· 마이클 폴란, 이경식 역, 『욕망하는 식물』, 황소자리, 2007.
· 수나우라 테일러, 이마즈 유리 역, 『짐을 끄는 짐승들 – 동물해방과 장애해방』, 오월의봄, 2020. |
포스트휴먼 시대, ‘아이돌’의 변신, 그리고 ‘팬덤’의 공-변 |
캐릭터부터 AI까지…확장되는 아이돌 세계관 |
· 이케아 전시장에서 3일동안 일상 공개했던 인플루언서의 비밀 : 가상모델 ‘이마(Imma)’ |
▷ 문화산업 |
· 마크 더핏, 김수정, 곽현자, 김수아, 박지영 역, 『팬덤 이해하기』, 한울, 2016.
· 브라이언 마수미, 정유경 역, 『가상과 사건 – 활동주의 철학과 사건발생적 예술』, 갈무리, 2016. |
젠더화된 네크로폴리틱스 : 여성안전과 데이트폭력의 문제 |
“여자가 일단 맞아야, 경찰은 여자를 지킬 수 있다” https://news.v.daum.net/v/20201121115100075?x_trkm=t
“나는 자살생존자입니다” |
· ‘자살률’ 데이터가 보여주지 못하는 여성의 자살 : 1997년 외환위기의 효과는 대기업 상용직으로 주로 일하던 남성에게, 2008년 금융위기의 효과는 노동빈곤의 처지에 주로 있는 여성에게 상대적으로 더 크게 영향을 미쳤다. (문다슬· 정혜주, 「두 번의 경제위기와 실업, 노동빈곤, 그리고 젠더: 한국 자살 위험양식의 역동적 변화에 대한 시론」) 그리고 ‘코로나 시대’에 여성의 죽음은 여전히 비가시화되어 있다. |
▷ 폭력 |
· 캐럴라인 크리아도 페레스, 황가한 역, 『보이지 않는 여자들』, 웅진지식하우스, 2020.
· 곽경희, 『남편이 자살했다』, 센시오, 2020. |
'모아보기 > 이슈토크 모아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슈토크] 3월 젠더·어펙트 이슈토크 (1) (0) | 2021.03.29 |
---|---|
[이슈 토크] 2월 젠더·어펙트 이슈 토크(1) (0) | 2021.02.19 |
[이슈 토크] 1월 젠더·어펙트 이슈 토크 (0) | 2021.01.28 |
[이슈 토크] 12월 젠더·어펙트 이슈 토크(2) (0) | 2020.12.24 |
[이슈 토크] 12월 젠더·어펙트 이슈 토크(1) (0) | 2020.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