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토크] 2월 젠더·어펙트 이슈 토크(1)
- 모아보기 / 이슈토크 모아보기
- 2021. 2. 19.
이슈제목 | 기사 제목 및 링크 | 토크 | 카테고리 | 참고문헌 |
책임있는 AI와 ‘책임 생태계’ |
AI 윤리 문제에서 비즈니스 기회를 발견하다 |
· 최근 한국에서 AI 챗봇 ‘이루다’를 비롯한 AI 서비스의 젠더화(성착취·혐오발화 등) 문제가 논란, 그러나 ‘더 나은 성능(기술)’이라는 임시방편책 외에 근본적인 해결방안은 제시되지 않음 → 현재 AI를 기술· 지능 편향적 관점에서 바라보는 태도의 한계 · AI의 기술적 측면만을 부각하는 논의와 관점을 탈피 : AI의 지능·기능의 “기술적” 발전에 관한 담론 역시 지속되는 동시에 이를 활용함으로써 수반되는 (과학)기술의 사회적 책임과 윤리의 담론 역시 병렬적으로 진행되어야 함. |
▷테크놀로지 ▷법·제도·정책 |
- Mark Coeckelbergh, AI Ethics, The MIT Press, 2020. - David J. Gunkel, The Machine Question: Critical Perspectives on AI, Robots, and Ethics, MIT Press Ltd, 2017. |
개인 데이터와 국가 통제 |
싱가포르의 지키지 못한 약속 https://www.technologyreview.kr/singapore-tracetogether-contact-tracing-police/ |
· 지난해(2020년) 4월부터 싱가포르에서 코로나 19 예방을 위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세이프 엔트리(디지털 체크인 시스템/QR코드)’와 ‘트레이스 투게더(확진자 및 접촉자 동선 추적 시스템)’을 시행. · 한 차례 사생활 침해 우려에 대한 논의가 있었으나 싱가포르 정부는 ‘접촉자 추적 조사 외에는 개인 정보(데이터)를 사용하지 않겠다’고 주장, 그러나 이달(2021년 1월) 초 모바일 앱으로 수집한 정보를 7가지 특정 범죄(테러, 살인, 납치, 심각한 마약 밀매 사건 등) 수사에 제한하여 수집된 개인 정보를 사용하겠다고 입장을 번복. |
▷테크놀로지 ▷법·제도·정책 |
- 임태훈, 『검색되지 않을 자유』, 알마, 2014. - 이광석, 『디지털의 배신』, 인물과사상사, 2020. |
밀크티 얼라이언스 : 시아 민주주의, 세대, 젠더, 지역 |
지금, 태국 청년들이 거리로 나온 이유(ft.밀크티동맹) Asia’s #MilkTeaAlliance has a new target brewing – the generals behind the Myanmar coup
Several Hundred Demonstrate in Solidarity for Myanmar in New Taipei
|
· 한국에서는 밀크티 얼라이언스가 보이는 <반중국> 색채 때문에 논의가 그쪽으로 가는 경향. · 타이완의 최근 시위가 거의 디아스포라 주도였다는 점도 흥미로움. 미얀마 쿠데타 반대 운동이 밀크티 연대에 새로운 세력으로 연결되었다는 분석.
한국에서는 글로벌 시티즌십 교육을 하고는 있지만 여전히 능력주의 교육을 벗어나지 못함.
|
▷인권 ▷교육 |
'모아보기 > 이슈토크 모아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슈토크] 4월 젠더·어펙트 이슈토크 (0) | 2021.04.30 |
---|---|
[이슈토크] 3월 젠더·어펙트 이슈토크 (1) (0) | 2021.03.29 |
[이슈 토크] 1월 젠더·어펙트 이슈 토크 (0) | 2021.01.28 |
[이슈 토크] 12월 젠더·어펙트 이슈 토크(2) (0) | 2020.12.24 |
[이슈 토크] 12월 젠더·어펙트 이슈 토크(1) (0) | 2020.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