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되기’의 실행: 괴물의 역량과 여성의 글쓰기에 관하여 - 메리 셸리의 『프랑켄슈타인: 현대의 프로메테우스』 I. 메리 셸리(Mary Shelley)는 『프랑켄슈타인: 현대의 프로메테우스』(Frankenstein: or The Modern Prometheus) 서문에서 어떻게 이 책을 쓰게 되었는가에 대해 쓴다. 21세가 되던 1816년 여름, 셸리는 친구들과 제네바로 여행을 떠난다. 여름답지 않게 춥고 비가 많이 오던 그 시절, 그는 저녁마다 모닥불을 지피고 친구들과 독일 유령 이야기를 하며 시간을 보낸다. 셸리와 친구들은 “괴담을 나누다 보니 비슷한 이야기를 지어내고 싶은 장난기가 발동”해 이야기를 한 편씩 쓰기로 한다. 날씨가 개자 친구들은 멋진 풍광에 마음을 빼앗겨 이야기 짓기를 그만두었지만 셸리..
1. 마주침과 연결의 흔적을 좇는 이야기들 누구든지, 어디에나 꼭 맞는 사람은 없다. 우리는 매일같이 오가는 일터나 학교에서, 우리가 친숙하다고 느끼는 공간에서, 자주 만나는 친한 사람들과 가족에게서, 그리고 우리와 한시도 떨어져 있지 않은 우리의 신체로부터 종종 낯설고 어렵고 감당하기 힘든 타자로서의 자기를 발견한다. 이러한 ‘잘 맞지 않는다’는 느낌, 온전히 인정받거나 이해받을 수 없을 것이라는 절망감은 우리에게 누구와도, 무엇과도 연결되어 있지 않다는 근원적인 소외감을 안겨준다. 그리고 바로 그 이유로 우리는 지치지도 않고 누군가와, 무언가와 연결되려 한다. 타자에 대한 이해, 글쓰기를 자신의 소설세계로 정립해온 작가 조해진에게 이러한 ‘연결’의 문제는 이야기의 요체가 될 수밖에 없다. 대표작 『로..
* 일러두기 - 대괄호는[ ]는 옮긴이가 부연 설명을 위해 임의로 추가한 부분이다. - 가독성을 위해 임의로 홑따옴표(‘ ’)나 줄표(―)를 적용하였다. -『에티카』 직접인용의 국역은 황태연본(피앤비, 2011)에서 가져온 후 [국역본]으로 서지사항을 표기했으며, [국역본] 표시가 없는 부분은 본문의 맥락에 맞춰 옮긴이가 직접 번역한 부분이다. - 원문의 이탤릭체는 고딕체로 강조했다. 단, 외국어(라틴어나 불어)여서 이탤릭체로 표기한 것은 따로 강조하지 않았다. 어펙트(affect) 얀 슬라비(Jan Slaby), 라이너 뮐호프(Rainer Mühlhoff) 번역: 은혜 우리 시대의 어펙트: 아이디어와 방향성 이 장의 후반부에서 우리는 현대 어펙트 연구에서 어펙트 이해에 중심이 되는 아이디어들, 특히 ‘..
twitter.com/genderaffect/status/1344184671538540544?s=21 genderaffect on Twitter “[6주차 위클리 젠더·어펙트 브리핑 : 흐름을 바꾸는 여성들 - 안향미, 세상의 편견을 향해 던지는 돌직구] 6주차 ‘위클리 젠더·어펙트 브리핑 : 흐름을 바꾸는 여성들’은 성적 고정관념으로 twitter.com www.facebook.com/100725971398746/posts/253356696135672/ Facebook에 로그인 메뉴를 열려면 alt + / 키 조합을 누르세요 www.facebook.com www.instagram.com/p/CJaeMPGF00g/?igshid=1e1rpfme862ad
twitter.com/genderaffect/status/1341616681852960769?s=21 genderaffect on Twitter “5주차 ‘위클리 젠더·어펙트 브리핑’은 매주 진행되는 정례 세미나에서 함께 공부했던 내용을 되짚어 보는 젠더·어펙트 용어와 개념입니다. 지난 11월 24일 화요일 인터내셔널 젠더·어펙트 twitter.com www.facebook.com/100725971398746/posts/248853106586031/ Facebook에 로그인 메뉴를 열려면 alt + / 키 조합을 누르세요 www.facebook.com www.instagram.com/p/CJIOfwsFXvo/?igshid=5hym86kg08zs
www.facebook.com/100725971398746/posts/244510533686955/ Facebook에 로그인 메뉴를 열려면 alt + / 키 조합을 누르세요 www.facebook.com twitter.com/genderaffect/status/1339117620595855361?s=21 genderaffect on Twitter “매주 수요일에 업로드하는 ‘위클리 젠더·어펙트 브리핑’의 4주차 북큐레이션은 에 대해 살펴보는 시간을 갖습니다. 임신 중단의 경험을 twitter.com www.instagram.com/p/CI2eCvwlvEA/?igshid=4qod1u3ud41h
twitter.com/genderaffect/status/1336554703417606147?s=21 genderaffect on Twitter “젠더·어펙트연구소에서 기획한 새로운 콘텐츠, ‘위클리 젠더·어펙트 브리핑’을 매주 수요일 업로드할 예정입니다. 이 콘텐츠는 젠더·어펙트연구소에서 논의된 다양하고 의미 있는 주제 twitter.com www.instagram.com/p/CIkQPFBFct0/ 로그인 • Instagram www.instagram.com www.facebook.com/100725971398746/posts/239797740824901/ Facebook에 로그인 메뉴를 열려면 alt + / 키 조합을 누르세요 www.facebook.com
* 일러두기 - 대괄호는[ ]는 옮긴이가 부연 설명을 위해 임의로 추가한 부분이다. - 가독성을 위해 임의로 홑따옴표(‘ ’)나 줄표(―)를 적용하였다. - 『에티카』직접인용의 국역은 황태연본(피앤비, 2011)에서 가져온 후 [국역본]으로 서지사항을 표기했으며, [국역본] 표시가 없는 부분은 본문의 맥락에 맞춰 옮긴이가 직접 번역한 부분이다. - 원문의 이탤릭체는 고딕체로 강조했다. 단, 외국어(라틴어나 불어)여서 이탤릭체로 표기한 것은 따로 강조하지 않았다. 어펙트(affect) 얀 슬라비(Jan Slaby), 라이너 뮐호프(Rainer Mühlhoff) 번역: 은혜 이 책 『정동적 사회의 주요 개념』의 본문 첫 장에서는 우리가 분석적 관점으로 유익하다고 간주하는 어펙트 이해를 개괄하고자 하는데, 그..
글로리아 스타이넘은 페미니즘이 여성의 삶에서 나오는 지식이라고 확언했다. 당연한 말이지만 때로 현학적인 용어들과 외부에서 얹어오는 표피적인 해석들 속에 둘러싸여 있다 보면 그 자명함을 잊어버리곤 한다. 열네 살에 성매매에 유입되어 7년의 기간 동안 성구매자들에게 착취를 당했던 레이챌 모랜(Rachel Moran)의 회고록 『페이드 포』를 읽기 전까지, 나는 내가 알고 있는 성매매에 대한 지식과 그것을 비판하기 위한 나의 언어 체계가 실은 얼마나 그릇된 고정관념에 얽매여 있는 것인지 알지 못했다. 이것은 강제가 있었느냐 아니냐로 구분지어 이야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며, 성노동자들의 생계와 안위를 위해 성매매의 합법화를 주장한다는 건 그야말로 기만이다. 모랜이 자신의 삶과 경험에서 길어 올린 생각과 지식은..
여성 의제를 다룰 때 주의해야 할 점은 자신의 인생에서 한 번도 진취적인 경험이 없는 여성은 없다는 것을 꼭 기억하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책을 관통하는 주제는 모든 여성은 독립적인 주체라는 점이다. 난민과 여성 사이에 무슨 관련이 있는 건가 싶을 수도 있다. 나도 그랬었다. 하지만 여성 의제는 다른 맥락 없이 흘러가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이 책을 읽으면서 깨달을 수 있었다. 난민에 대해서 아는 것이 없었던 나는 난민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정우성 배우님’ 밖에 없었다. 그나마 정우성 배우님께서 난민혐오 반대 운동을 적극적으로 이끌어 주셔서 이 정도라도 남은 것이라고 생각한다. 나는 난민에 대해서 무지했지만 그나마 아는 것이라고는 마치 주입식 교육처럼 ‘난민에 대한 혐오를 하면 안 된다’는 ..
정체를 부수는 정체 사람들은 무언가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대상과 마주할 때, 그것을 이분법적으로 분리하고 구분하여 이해하려 한다. 그것을 구분하는 것이 본질적으로 대상을 이해하기 쉽기 때문일까, 혹은 구분하고 재단하면 대상을 본질적으로 이해하였다고 여기기 때문일까. 오래된 정의는 ‘본질’을 이해하기 위해 세상을 구분해왔다. 선:악, 빛:어둠, 남성:여성, 정상:비정상과 같은 대립 항으로. 한편, 이렇게도 말할 수 있지 않을까? 인간이 본질을 이해하기 위해 세상을 구분해온 관습은, 나아가 구분하는 것 자체를 인간의 본질로 만들어버렸다. 사회는 각 대립 항의 부분과 요소들로 구성되는 것이 본질이라 여기게 되었고, 각 부분과 요소들에는 본질적 역할이 있으며, 그 역할의 수행이 인간의 본질이라고 여겼다. ..
나의 오늘은 평온했다. 늦잠을 잤고, 밥을 챙겨 먹었으며, 더울 땐 에어컨을 켰다. 늦은 오후에 자전거를 타고 카페에 나와 맛있는 음료를 마시며 책을 읽었고, 지금은 이렇게 리뷰를 쓴다. 나의 오늘은 아직도 평온하다. 그러나 누군가는 덥고 습한 날씨를 견디며 쉽게 풀리지 않을 문제를 두고 싸우는, 평온하지 않은 하루를 보내고 있을 것이다. 그 누군가는 노조를 만들었단 이유로, 정규직을 비정규직화하겠다는 사측에 동의하지 않았단 이유로, 정리해고에 맞섰다는 이유로 쫓겨났던 일터를 되찾기 위해 오늘 이 시간에도 싸우고 있는 사람들이다. 나의 일상은 이리도 평온한데, 저 사람들의 일상은 왜 평온하지 않을까. 왜 그토록 고생하며 싸우고 있는 것일까. 앞이 보이지 않는, 너무 오래 싸워 와서 이제는 뒤를 돌아봐도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