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 : 젠더·어펙트 스쿨 제3회 리뷰 공모전 당선작] 정체를 부수는 정체 (김효빈)

정체를 부수는 정체

 

사람들은 무언가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대상과 마주할 때, 그것을 이분법적으로 분리하고 구분하여 이해하려 한다. 그것을 구분하는 것이 본질적으로 대상을 이해하기 쉽기 때문일까, 혹은 구분하고 재단하면 대상을 본질적으로 이해하였다고 여기기 때문일까.

 

오래된 정의는 ‘본질’을 이해하기 위해 세상을 구분해왔다. 선:악, 빛:어둠, 남성:여성, 정상:비정상과 같은 대립 항으로. 한편, 이렇게도 말할 수 있지 않을까? 인간이 본질을 이해하기 위해 세상을 구분해온 관습은, 나아가 구분하는 것 자체를 인간의 본질로 만들어버렸다. 사회는 각 대립 항의 부분과 요소들로 구성되는 것이 본질이라 여기게 되었고, 각 부분과 요소들에는 본질적 역할이 있으며, 그 역할의 수행이 인간의 본질이라고 여겼다.

 

본질적 개념으로 여겨지고, 정의되며 사유의 보편적 근거라는 지위를 획득한 언어들은 다른 목소리를 ‘비과학적’인 것 치부할 수 있도록 전유되어왔다. 그러나 되물어야 한다. 본질적이며 보편적이고, 정상적이라 여겨져 왔던 언어들은, 얼마나 본질적일 수 있고, 보편적일 수 있으며, 정상적이었는가.

 

 

뿌리 깊게, 혹은 끈덕지게 이어져 온 정의가 있다. 인간은 본질적으로 사회적(정치적) 존재이며 그 덕목은 공동체와의 이성·언어(Logos) 행위, 그리고 정치참여를 비롯한 관계를 통해 달성된다는 것이다. 그(의) 정의에서 공동체를 구성하는 부분과 요소의 최소 단위는 ‘가정’이며, 가정에서의 부분과 요소인 어머니와 아버지, 자녀와 노예의 역할과 관계성에 대해 정의했다. 따라서, 공동체에서 가정을 꾸리는 것은 인간의 본질이자 정상성의 언어로 말해지는 행위다. 그것은 그 사회와 가정에서 여성의 역할을 정의하고, 그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여성의 본질이라 말하는 이성애 제도가 된다. 그(의) 정의에서 말해지는 정상성의 범주 밖의 목소리는 ‘비정상’적인 것이고, ‘비과학’적인 것이며, ‘비이성’적인 것 치부되어 그(의) 정의에서의 역할과 착취를 영속화한다.

 

기존에 말해지던 보편적인 것, 정상적이고 상식적인 것들에 대한 전복적 시도는, 다르게 말해 보편적인 것이 정말로 보편적인 것이었는지, 정상적이며 상식적이라 여겨져 온 것들이 정말로 정상적이고 상식으로 여겨질 수 있는 것이었는지를 되묻고, 탈환하고자 하는 시도다.

 

그리고 (오직) 사랑만이

 

모니크 위티그의 저술이 독보적인 이유는, 그것이 단순히 ‘레즈비언’의 ‘페미니즘’이 아니라 ‘레즈비언-페미니즘’[각주:1]적 선언에 해당하며, 정상성으로 말해지는 범주에서도 생물학적 단계에서부터 인류 존속을 위해 이어온 것으로 여겨져 온 ‘이성애’라는 제도를 전복하는 것만이 여성해방을 가능케 한다는 파격적 사유로부터 찾을 수 있다.

 

페미니즘에는 많은 갈래가 있으며, 포용적이기도, 급진적이기도, 정체성을 규정하기 어렵거나 그것을 거부하는 경향도 있다. 그러나 그것들이 공통적으로 나아가는 방향은 성별로 인해 착취당하고, 억압받고, 고통받는 현실의 타파와 그로부터의 해방일 것이다.

 

모니크 위티그의 사유는 가장 단순한(그리고 근원적인) 부분에서부터(거슬러 올라가) 시작된다. 남성에 의한 여성 착취·억압 구조가 있다면, 억압하는 성과 억압받는 성별이 없으면 된다. 보부아르의 ‘여성으로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여성으로 만들어지는 것’이라는 명제는 위티그에 이르러 ‘레즈비언은 여성이 아니다’라는 선언에 이른다.[각주:2]위티그가 강조하는 것은 성별이란 사회적 합의이며 정치적 범주임을 인식하는 것이다. 성별에 따른 본질적인 역할이란 없으며, 정치적 헤게모니 다툼에서 우위를 점한 성별이 어떤 속성을 선점하거나 개념과 언어를 전유하게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성애 제도란 여성의 억압과 착취, 대상화를 영속화하는 정치적 욕망의 도구다. 그럼 착취의 구조와 억압하는 (남)성을 해체하기 위해서 어떻게 할 수 있는가? 의심의 여지가 없어 보이는 것, 정상적으로 여겨져 온 것을 의심하고 그것의 지위를 탈환하려는 위티그의 결론은 명쾌하다. 억압받는 역할을 떠맡고 정의되어온 (여)성이 없다면, 대립 항으로써의 (남)성도 없으며, 이항대립으로 성립되고 그것을 기반으로 착취·억압을 영속해온 도구인 이성애 제도도 해체된다는 것이다.

 

모니크 위티그는 말한다. ‘레즈비언은 여성이 아니다.’ 따라서 레즈비언이 된다는 것은, 진정 제도적 모순과 억압·착취를 해체하기 위한 정치적 실천이다. 이항대립의 요소로서 여성과 남성이 해체된다면, 이에 기반한 이성애 제도는 자리를 잃는다. 이성애라는 개념·언어와 대치되는 동성애 역시 대립 항으로서 존재할 이유가 없게 된다. 이:동성애는 해체되고, 레즈비언을 비롯한 모든 관계 맺음은 성의 범주에 의한 관계성이 아닌 각각의 특수성으로 환원된다. 이성애 제도에 대한 전복적 시선이 바라보는 미래에는 최종적으로 (이:동성애도 아닌)사랑만이 오롯이 남게 된다.

 

 

노래하소서―

 

위티그의 저술은 파격적인 이론만이 아니다. 작가로서 소설, 희곡 등 많은 문학작품을 남겼고 이를 통한 성취도 파격적이다. 위티그는 문학을 트로이전쟁의 목마에 비유한다.[각주:3] 그 목마는 트로이인들에게 단지 미적인 조형이다. 하지만 실상은 전쟁 도구이며, 복병이 숨어있다. 위티그는 문학의 가능성을 ‘이성애 제도’처럼 오랜 성벽과 같이 완고한 제도를 타파하는 언어적 도구로서의 가능성을 환기한다. 마르셀 프루스트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는 ‘역사보다도 보편적’이라고 말해지는 문학이라는 목마의 형식을 빌려 당대의 담론 속으로 침투했고, 문학적 성취는 목마로서의 진가가 드러나며 확장된다. 또한 위티그 자신의 문학작품에서도 주요하게 고찰되고 전복적인 것은 다름 아닌 언어다. 성별이 정치적 범주이고 사회적 합의라면, 사회적 합의의 정초인 언어(Logos) 자체에 대한 해체는 핵심으로 이르는 지름길이다.

 

위티그가 문학을 바라보는 시선과 나아가려는 방향은 일주하여 보편이라는 지점에서 맞닿는다. 소수의-비정상적인 시선이 보편의 지위를 탈환할 때 행위나 도구로서의 문학은 오롯이 평가될 수 있다.

 

정치적 범주

 

급진적 페미니스트로 이야기되며 ‘레즈비언-페미니즘’으로서 여성 간의 성애, 혹은 연대를 강조하는 모니크 위티그의 논의는 일견 생물학적 여성(성)을 강조하는 것으로 오독될 수 있다. 그러나 위티그의 ‘레즈비언-페미니즘’은 ‘역사적으로나 생물학적·과학적으로도 의심할 여지가 없는 정상성’에 대한 의심과 해체로부터 출발한다. 위티그가 여성해방을 위해 취하게 된 전략은 다름 아닌, 비정상성으로 표상되며 정치적 헤게모니 다툼에서 비주류에 자리한 존재를 통한 전복이며, 보편의 해체와 최종적으로 모든 획일화된 일반성을 특수성으로 환원하는 작업으로 여겨진다.

 

‘여성으로 태어나는 여성은 없으며’, ‘레즈비언은 여성이 아니다’라는 명제가 ‘성은 정치적 범주’로서 ‘본질적인 성은 없다.’는 것을 말한다면, 그것이 환기하는 변화 가능성에 대하여, 언어가 취할 수 있는 목마로서의 전략에 대하여 고민해본다.

 

 


김  효  빈

젠더·어펙트 스쿨 제3회 리뷰 공모전 당선자

 


 

 

  1. 나영 엮고 옮김. <레즈비언 페미니즘 선언 반란, 연대, 전복의 현장들>, 현실문화연구, 2019, 22. [본문으로]
  2. 위의 책, 45[본문으로]
  3. 모니크 위티그, <모니크 위티그의 스트레이트 마인드>, 허윤 옮김, 행성B, 2020, 155-168. [본문으로]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