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토크] 3월 젠더·어펙트 이슈토크 (1)
- 모아보기/이슈토크 모아보기
- 2021. 3. 29.
이슈 제목 |
기사 제목 및 링크 |
토크 |
카테고리 |
참고문헌 |
새로운 친밀성을 만들어나가는 페미니즘(페미니스트) |
연애와 사랑을 페미니즘의 언어로 ‘배울’ 수 있을까? |
· 한국 사회 속, 연애와 페미니즘(페미니스트)에 대한 오해 : → 경험을 통해 저절로 습득되는 지식으로서의 연애, 그러므로 연애와 관련해 경험 외에 별도의 교육은 필요치 않다는 통념이 존재함. → 오랜 시간 친밀한 관계 내의 폭력 및 젠더화 구조에 대해 문제제기, 비판을 하는 ‘나쁜 주체’(분위기 깨는 페미니스트, feminist killjoy)로서 페미니스트는, 연애, 사랑, 결혼, 반려관계와 양립 불가능(비연애, 탈연애, 비혼 등)하다는 오해가 존재함.
|
▷섹슈얼리티 ▷교육 |
사라 아메드, 성정혜·이경란 역, 『행복의 약속』, 후마니타스, 2021. |
구조적 문제를 은폐하는 ‘가난의 서사’ |
당신이 우울해서 가난하다는 서사의 폭력 |
· 우리 시대에 존재하는 가난에 대한 지배적 서사 → 가난한 사람은 취향, 지식, 감수성, 배려, 비판적 사고 등의 능력까지 모두 빈곤할 것이라는 편견. → 가난과 그에 따른 어려움이 개인의 정신적 불건강에서 유래한 결과로 바라보며 ‘스스로를 책임지지 못했다’는 개인의 실패라는 서사로 해석.
결과적으로 ‘행복하지 못한’ 자기-개인만이 남게 됨.
|
▷돌봄 ▷법·제도·정책 |
|
투기공화국에서 도시의 거주권에 대한 사유 |
국회의원 넷 중 하나가 ‘농부’인 나라
국회의원 전수조사 잘 될까? 장혜영, 문재인 정부 들어 5번 제안 있었지만… |
· “공직자윤리위원회가 관할하는 정부 고위공직자 1862명 중 38%가 농지를 보유” · 한국사회의 땅 투기 : 학군-직장-안정된 인생이 연계된 대규모 단지식 인프라 조성의 역사적 축적. 국가 주도(공공)개발과 개인의 삶 기획이 반영구적으로 만들어지는 형식 · 투기 정보를 통해 만들어지는 ‘정서 공동체’ · ‘살 권리’, ‘거주권’ 에 대한 접근의 필요성 : 땅의 소유를 해방적 가능성을 방해하는 것으로 이해해온 것으로부터 벗어나 삶의 존재와 살 권리라는 ‘커먼즈’의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성 |
▷법·제도·정책 |
- 송제숙, 황성원 옮김, 『혼자 살아가기』, 동녘, 2016. |
삶의 공간의 물질성 |
우리 부동산은 누구도 문전박대하지 않습니다 : 부동산회사 ‘프라임’을 운영하는 이시즈카 메구미 씨
|
· “노인, 1인가구 생활자, 집 없이 자동차에서 생활하는 사람, 생활이 어려워 살 집 찾기 어려운 사람들이 여기에 오면 어떻게든 해결이 된다.” · 부동산은 ‘신원’이 확실하고 ‘자립’을 전제로 한 개인들이 찾는 곳. 그렇지 않은 이들이 거주 공간을 확보하려면 부동산이 아닌 공공시설, 종교시설에 의탁하는 방식, 또는 쪽방촌이나 고시원에 거주하는 환경 · 거주형태를 ‘차이’를 통해 인식할 필요성 : 일본뿐만 아니라, 한국 내에서의 지역적 차이를 고려
|
▷ 돌봄 ▷ 인권 |
|
'모아보기 > 이슈토크 모아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슈토크] 4월 젠더·어펙트 이슈토크 (0) | 2021.04.30 |
---|---|
[이슈 토크] 2월 젠더·어펙트 이슈 토크(1) (0) | 2021.02.19 |
[이슈 토크] 1월 젠더·어펙트 이슈 토크 (0) | 2021.01.28 |
[이슈 토크] 12월 젠더·어펙트 이슈 토크(2) (0) | 2020.12.24 |
[이슈 토크] 12월 젠더·어펙트 이슈 토크(1) (0) | 2020.12.16 |